• News & Opinion >
  •  News

News

제목 유연근무 도입 기업에 근로자 1인당 최대 520만원 지원!
부제목 고용부, 원격근무 인프라 구축비용도 최대 2천만원지원
등록일 2017-03-07

일하는 시간과 장소가 유연한 근무 제도를 확산하기 위해 2017년 유연근무 지원이 대폭 강화된다.
 
고용노동부는 2017년부터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근무제 등 유연근무제도를 도입‧운영하는 중소기업에 근로자당 연 최대 520만원(피보험자수의 30%한도, 최대 70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재택‧원격근무 도입에 필요한 시스템, 설비‧장비 비용을 지원하는 “원격근무 인프라 구축 지원”(최대 2천만원)을 신설했다.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가까운 고용센터 기업지원과(☎대표번호 1350)로 신청서‧계획서를 제출하고, 유연근무제 도입 목적과 실천 가능성, 계획의 구체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승인을 거쳐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유연근무에 대한 지원강화는 그간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는 유연근무의 확산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기업 1,000개소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에서는 일‧가정 양립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 유연근무 확산이 각각 1, 2위로 꼽혔다.
 
실제 (주)와이엠씨 등 유연근무를 도입한 기업은 근로자의 직장 만족도, 업무 집중도,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누리고 있다.
   
또한 유연근무제 도입 시 제도설계, 근로시간 관리 등의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일터혁신 컨설팅도 지원하고 있다.
   
유연근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유연근무 유형별 설계 방법, 도입 단계별 주요사항 등을 담은 매뉴얼도 마련했다.
 
김경선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기업들이 저마다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도입하여 일과 생활이 조화로운 일터 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유연근무 확산에 대한 정책의지를 밝혔다.

첨부: 2017년 주요 일‧가정 양립 지원 내용 및 환경개선지원제도 등

 
- Copyright 삼일인포마인 -

T
O
P

(04321)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273(갈월동 92번지) 용산빌딩 4F 대표전화 02.3489.3100 팩스 02.3489.3141
사업자등록번호 106-81-19636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용산 제 03791호 대표자 : 이희태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최인철
Copyright© 삼일피더블유씨솔루션(주) All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