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20일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에 대한 작업 중지의 요건 및 범위와 해제 절차를 규정한 ‘중대재해 발생에 따른 작업중지의 범위·해제절차 및 심의위원회 운영 기준’을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시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변경된 ‘중대재해 발생에 따른 작업중지 운영 기준’에 따르면 작업중지 명령은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에 산업재해가 다시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 ‘해당 작업’ 또는 ‘중대재해가 발생한 작업과 동일한 작업*’에 대하여 작업중지 조치를 하도록 했다. 아울러 ‘작업중지 해제 심의위원회’는 당해 사업장과 이해관계가 없는 관련 분야의 외부 전문가를 반드시 포함하여 4명 이상으로 구성하여 해제 과정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였다. 박영만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이번 지침은 작업중지의 요건 및 범위와 해제절차를 보다 명확히 규정한 것이다.”라고 하며 “작업중지 제도가 보다 더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 Copyright 삼일인포마인 - ![]() |
News & Opinion
- News & Opinion >
- News
News
제목 | 중대재해 사업장 작업중지 해제시 노동자 과반의견 들어야 | ||||
---|---|---|---|---|---|
부제목 | 고용부, ‘중대재해 발생에 따른 작업중지의 운영 기준’ 시달 | ||||
등록일 | 2019-05-2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