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지원센터
인사노무
판례예규해석
번호
제목
등록년월
239[행정해석] 감시·단속적 근로에 종사하는 임신 근로자의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적용 여부 (여성고용정책과-1735, 2021. 05. 13)2025-07-28
238[대상 행정해석] 사업장이 근로기준법 제59조에 따라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 제도를 도입한 경우 연장근로시간 한도 위반문제 (근로개선정책과-2475, 2011. 08. 05. 회시)2025-07-14
237[판례해석] 비번일이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휴일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20.6.25. 선고 2016다3386)2025-06-23
236[행정해석] 격일제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 전일부터 익일까지 근로를 하였다면 연장근로로 보아야 하고, 휴일근로수당은 발생하지 않는다 (근로개선정책과-4304, 2012.08.25)2025-06-04
235[행정해석] 계절적 업무 종사자의 계속근로기간 (근로복지과-191, 2012.01.16.)2025-04-14
234[행정해석] 주의 및 작업에 관한 교육시간은 근로시간에 해당한다 (법무 811-11278, 1978. 05. 31)2025-04-07
233[판례해석] 실제근로시간과 상당한 불일치가 있는 소정근로시간 합의는 무효이며, 소정근로시간에 정함이 없는 경우 법원은 소정근로시간을 확정할 수 있다 (대법원 2024.12.26. 선고 2023다200314)2025-03-31
232[행정해석] 1. 당사자간 합의에 의한 1주 12시간 한도의 연장근로는 1주일간의 연장근로만을 제한한 것이다, 2. 1주 12시간 한도의 연장근로도 유해·위험작업과 연소근로자의 근로시간규정에 따라 제한된다 (근기 01254-1135, 1988.01.25)2025-03-24
231[행정해석] 차량출고 및 입고시간의 근로시간여부는 취업규칙이나 사업체의 관행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근기 01254-20265, 1989.12.04)2025-02-24
230[판례해석] 임신한 근로자가 시간외근로를 하고 있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2개월 동안 시간외근로를 하는 상황을 묵인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용자 등 벌금형 (제주지법 2017고단3237, 2018.12.17. 선고)2025-01-13
1 2 3 4 5 6 7 8 9 10 마지막